오늘은 우리가 흔히 "with 부대상황" 구문이라 알고 있는 것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고자 합니다.
"With 부대상황 구문"은 특정 동작이나 상태를 수행하는 동안, 그 동작이나 상태를 수행하는 대상이나 사물을 나타내는 구문입니다.
즉 어떤 상황이 벌어지고 있을 때 또 다른 상황이 동시에 벌어지고 있음을 with라는 장치를 통해 표현했다 생각하시면 좋을 것입니다.
예를 들어, "With a smile on her face"는 "그녀의 얼굴에 미소가 있는 상태로(미소를 얼굴에 띈 채)"라는 의미를 가지며,
"With his arms crossed"는 "그의 팔이 교차된 상태로(팔짱을 껸 채)"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이러한 구문은 일상 생활에서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With a pen in hand, he began to write"는 "그가 펜을 손에 들고 글을 쓰기 시작했다"라는 의미를 가지며,
"With the sun shining brightly, we went for a walk"는 "해가 밝게 비추는 상태에서 우리는 산책을 나갔다"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그런데 학습자들이 좀 헷갈려 할 수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ing"는 "능동", "-ed"는 "수동"이라 알고 있는 바로 -ing를 붙이거나 -ed를 붙이거나 할 때입니다.
이것을 위해 (1)"with his back leaning on the wall(벽에 등을 기댄 채)"와 (2)"with his arms folded(팔짱을 껸 채)"를 예로 들어 비교해 보겠습니다.
(1)에선 his back(그의 등)이 lean(기대다)이란 동작의 주체이고 (2)에선 his arms(그의 팔)이 fold(접다)란 동작의 주체입니다.
그런데 (1)에선 lean에 -ing를 붙여 표현했고 fold엔 -ed를 붙여 표현했다는 것입니다.
그의 등이나 그의 팔을 그의 신체로 생각한다면 이런 신체들은 뇌의 명령을 받아 수동적 행동을 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즉, (1)에선 his back은 기대지는 것이고 (2)에선 his arms는 접혀지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2)는 수긍이 되는데 (1)은 수긍이 잘 되질 않습니다.
(1)에서도 with his back leaned가 되어야 하지 않을까라는 의문이 생깁니다.
비슷한 예문을 몇 개 들어보겠습니다.
He is waiting for a girl with his back leaning on the car.
He said good bye to his son with his hand waving.
He answered the question with his finger pointing at the door.
위 예문에서 볼 수 있듯이 his hand는 신체의 일부인데 his hand가 능동적으로 손을 흔들고 있고, his finger도 신체의 일부인데 능동적으로 뭔가를 가르키고 있다는 것으로 이해가 됩니다.
어떨 때는 신체가 능동적으로 행동하고 또 어떤 경우엔 신체가 수동적인 행동을 하는 것이 참 헷갈립니다.
그런데 우린 여기서 다음 키워드를 생각하면 이런 것들이 이해가 갈 것입니다.
beING -ing : 능동/진행 *진행 : 반복, 일시적
beING ~ed : 수동/완료
"-ing"는 "능동" 뿐만 아니라 "진행"이란 뉘앙스가 있고,
"-ed"엔 "수동" 뿐만 아니라 "완료"란 뉘앙스가 있다는 것을 알고 있으면 됩니다.
그리고 이 "진행"이란 뉘앙스가 갖는 의미도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합니다.
"진행"이란 어떤 동작이 지금 이전에 시작을 했고 지금도 "반복"되고 있음을 내포합니다.
그리고 그 동작은 영원히 지속되는 것이 아니라 "일시적"인 동작이란 것을 내포하고 있음을 이해해야 합니다.
즉, "진행"은 "반복"과 "일시적"이란 개념을 기억하고 있어야 합니다.
"완료"란 어떤 동작이 지금 이미 끝나 있다는 것만 기억하면 됩니다.
그럼 다시 위 예문들을 살펴보겠습니다.
자~ 그럼 -ing가 붙는 형태를 먼저 살펴 보겠습니다.
He is waiting for a girl with his back leaning on the car. (진행; 일시적)
"그의 등을 차에 기대어 있는" 동작은 "일시적" 동작이란 것을 ing가 나타내고 있습니다.
He said good bye to his son with his hand waving. (진행; 반복)
"그의 손을 흔드는" 동작을 "반복"적 동작이란 것을 ing가 나타내고 있습니다.
He answered the question with his finger pointing at the door. (진행; 일시적)
"그의 손가락을 가르키는" 동작은 "일시적" 동작이란 것을 ing가 나타내고 있습니다.
with a mad dog following him (능동/진행_반복)
(미친 개가 그를 따라오면서)
"미친 개가 그를 따라오는" 동작은 개의 "능동"적 동작임과 동시에 "반복"적 동작임을 ing가 보여주고 있습니다.
with the tap water running (진행_반복)
(수도물을 잠그지 않은 채)
"수도물이 계속 흐르고 있는" 상태의 "반복"적 모습을 ing가 보여주고 있습니다.
with little wind blowing (진행_일시적)
(바람이 거의 불지 않은 채)
"바람이 불지 않는" 상태의 "일시적" 모습을 ing가 보여주고 있습니다.
with AI technology progressing so fast (진행_반복)
(AI 기술이 매우 빠르게 발전하면서)
"AI 기술이 매우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반복"적 모습을 ing가 보여주고 있습니다.
혹은 다른 시대와는 달리 "AI 기술이 매우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일시적"인 시대적 모습을 ing가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with so many people getting their information online (능동/진행_반복)
(아주 많은 사람들이 정보를 온라인으로 얻으면서)
"아주 많은 사람들이 정보를 온라인으로 얻는" 동작이 "능동"적이면서도 "반복"적임을 ing가 보여주고 있습니다.
자~ 이젠 -ed가 붙는 형태를 살펴 보겠습니다.
with his arms folded (수동/완료)
(팔짱을 낀 채)
"그의 팔을 접는" 동작이 "수동"적으로 일어났으며, 그 동작은 이미 "끝나 있다"라는 "완료"의 의미를 -ed가 보여주고 있습니다.
with his eyes closed (수동/완료)
(눈을 감은 채)
"눈을 감은" 동작이 "수동"적으로 일어났으며, 그 동작은 이미 "끝나 있다"라는 "완료"의 의미를 -ed가 보여주고 있습니다.
with her legs crossed (수동/완료)
(다리를 꼰 채)
"다리를 꼰" 동작이 "수동"적으로 일어났으며, 그 동작은 이미 "끝나 있다"라는 "완료"의 의미를 -ed가 보여주고 있습니다.
with its door unlocked (수동/완료)
(문을 열어놓은 채)
"문이 열려져 있는" 상태가 "수동"적으로 일어났으며, 그 상태는 이미 "끝나 있다"라는 "완료"의 의미를 -ed가 보여주고 있습니다.
with the new books released (수동/완료)
(새 책들이 발매되어)
"새 책들이 발매된" 동작은 "수동"적으로 일어났으며, 그 동작은 이미 "끝나 있다"라는 "완료"의 의미를 -ed가 보여주고 있습니다.
자~ 이번엔 형용사가 온 형태를 살펴보겠습니다.
with the windows open (상태)
(창문을 연 채)
"창문이 열려져 있는" 상태가 지속됨을 "형용사"가 표현하고 있습니다.
with your mouth full (상태)
(입 안에 음식이 가득한 채)
"입이 꽉 채워져 있는" 상태가 지속됨을 "형용사"가 표현하고 있습니다.
with his eyes shut (상태)
(눈을 감은 채)
"눈이 감겨져 있는" 상태가 지속됨을 "형용사"가 표현하고 있습니다.
자~ 이번엔 전치사구/부사가 온 형태를 살펴보겠습니다.
with my hands in my pockets (상태)
(손을 주머니에 넣은 채)
"손이 주머니 안에 넣어진" 상태를 전치사 "in"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with tears in her eyes (상태)
(눈물이 고여)
"눈물이 눈 안에 맺혀 있는" 상태를 전치사 "in"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with the TV on (상태)
(TV를 켠 채)
"TV가 켜져 있는" 상태를 부사 "on"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with her boots on (상태)
(부츠를 신은 채)
"부츠가 접해져 있는" 상태를 부사 "on"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with so many new foods on the market (상태)
(매우 많은 새로운 음식들이 시장에 나온 채)
"매우 많은 새로운 음식들이 시장에 접해져 있는" 상태를 부사 "on"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우리가 도출해 낼 수 있는 사실은 위 표현은 다음과 같은 형태를 띈다는 것입니다.
with 명사 ing
with 명사 ed
with 명사 형용사
with 명사 전치사/부사
다음 시간엔 많은 예문들을 통해 위 표현을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영어의 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뒤에 ing를 취하는 동사들 (1) | 2023.05.08 |
---|---|
부대상황 구문 2 (2) | 2023.05.06 |
few와 little이 들어간 표현들의 의미 차이 2 (0) | 2023.05.04 |
few와 little이 들어간 표현들의 의미 차이 1 (0) | 2023.05.03 |
찾다의 의미를 갖는 동사 Seek, Search, Seek for, Search for 비교 (0) | 2023.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