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품사 중 전치사란 녀석은 정말 쉬워 보이면서도 영어 학습자를 괴롭히는 녀석일 것입니다.
앞으로 이런 전치사에 대해 조금씩 알아볼까 합니다.
우리는 흔히 “~로 꽉 차 있어”라는 표현으로 "be full of"라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그런데 “~로 채워져(덮여) 있어”라고 할 땐 “be covered with”라는 표현을 쓰죠?
그럼 왜 be full with는 왜 문법적으로 틀렸을까요?
"be full with"는 문법적으로 정확하지 않은 표현입니다.
"full"은 형용사이며 보통 "with"와 함께 쓰이지 않습니다.
대신 "full of"을 사용합니다.
"full of"는 어떤 것이 가득 차 있거나, 많은 양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관용구입니다.
예를 들어, "The jar is full of candy"는 "그 항아리는 사탕으로 가득 차 있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The bowl is full of fruits" 또는 "The house is full of people"와 같이 "full of"를 사용하는 것이 올바른 표현입니다.
그렇다면 왜 of를 쓰는 것은 가능한데 with를 쓰는 것은 어색한지 그 이유를 뭘까요?
"full of"와 "full with"는 유사한 뜻을 가지지만, 보통 다른 맥락에서 사용됩니다.
"full of"은 일반적으로 어떤 것이 가득 차 있거나, 많은 양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관용구이며, 존재하는 것의 소유 또는 부속물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즉, of라는 전치사는 [소유/구성]이라는 이미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A라는 집합이 B란 집합에 소유되어 있는 것으로 이해하거나, B란 집합에 구성되어 있는 집합으로 이해할 수 있는 이미지입니다.
혹은 A와 B가 서로가 서로를 소유하고 있는 이미지로 이해할 수도 있습니다.
이때 우리는 흔히 동격이란 것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the City of Seoul"이라고 하면 "서울이라는 도시"라고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The jar is full 항아리가 가득차 있어
of candy (그때) 구성(소유)하고 있는 건 사탕이야
The house is full 그 집이 가득차 있어
of people (그때) 구성하고 있는 건 사람들이야.
위와 같은 식으로 문장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full with"는 어떤 것이 가득 차 있을 때 일시적인 상황이나, 특정한 상황에서 어떤 것이 가득 차 있음을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
"full with"는 구어체에서 사용될 수 있지만, 영어 교육 및 문서 작성에서는 "full of"을 선호합니다.
"full with"를 사용하면 어색하게 들리는 이유는, 이 구문이 다소 구어체나 대화체에 가까운 표현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full with"는 문법적으로 정확한 구문이 아니기 때문에, 보다 표준적인 표현인 "full of"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럼 이번엔 “~에 늦다”라는 표현으로 "be late at"은 문법적으로 맞는 표현일까요?
결론적으로 "be late at"은 문법적으로는 틀린 표현입니다.
"I was late at the meeting"이란 표현에서 "at the meeting"을 "미팅에"라고 해석해서 "나는 미팅에 늦었어"라고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at"은 어떤 특정한 한 점을 나타내기에 "미팅이라는 어떤 한 점에서 내가 늦었어"라고 이해될 수 있기에 적합하다고 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be late at"은 사용되지 않는 관용구이며, "be late for"을 사용하는 것이 올바른 표현입니다.
"be late for"는 어떤 예정된 일 또는 약속에 지각한 경우를 나타내는 관용구입니다.
예를 들어, "I'm going to be late for my meeting"은 "내가 내 회의에 늦을 거 같아"라는 뜻입니다.
여기서 for는 [교환/상등]이란 이미지와 뉘앙스를 가지고 있습니다.
빨간 손에 대응되는 건 노란 손이고, CD에 대응되는 건 어떤 인형이며, 아코디언에 대응되는 건 고양이인 것처럼 어떤 원소 a와 대응되는 b의 관계성을 for가 나타내고 있습니다.
I'm going to be late 나 늦을 것 같아
for my meeting (늦는 상황에 대응(상등)되는 건) 나의 미팅이야
위와 같은 식으로 문장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때 for가 가지고 있는 뉘앙스나 이미지를 조금 더 살펴 보겠습니다.
"be late for"는 어떤 예정된 일 또는 약속에 지각한 경우를 나타내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for"는 지각한 예정된 일 또는 약속이 일어나는 시간, 장소 또는 이유를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
이 표현에서 "for"는 지각한 일 또는 약속에 대한 원인이나 이유를 나타내며, 일정한 시간을 기준으로 지각한 것을 나타냅니다.
"be late for"은 조금 부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이 표현은 시간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일정에 따라 움직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때로는 "for"가 "지각한 일 또는 약속에 대한 원인"이라는 의미로 사용되므로, 그 원인이 까다로운 상황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be late for"은 일반적으로 일정에 따라 움직이는 것이 중요한 상황에서 사용되며, 예를 들어 약속, 회의, 출근 시간 등과 관련된 문맥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조금 더 for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죠.
A for B의 형태에서 for의 뉘앙스는 뭘까요?
"A for B"는 A가 B를 대신하는 것으로서 B에 대한 대체재 또는 대리인 역할을 하는 것을 나타내는 구문입니다.
"for"는 이 구문에서 "대신, 대리로"의 의미를 가지며, B에 해당하는 것을 대신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이 구문은 일반적으로 상호 대체성을 가진 두 가지 사물 또는 개념을 연결하는 데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I'll trade you my sandwich for your chips"는 "내 샌드위치 대신 네 감자칩을 교환하겠다"는 뜻입니다.
또 다른 예로, "She works for a law firm"은 "그녀는 법률 사무실에서 일한다"는 뜻이며, 여기서 "for"는 "대리인" 또는 "대신"으로 사용되지 않고, "소속, 일하는 곳"을 나타내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I'll trade you my sandwich 난 너에게 내 샌드위치를 교환해 주겠다
for your chips (이때) 교환되는 건 너의 감자칩이야.
She works 그녀가 일해
for a law firm (그때) 일의 가치에 상등(대응)되는 건 법률 사무소야. 즉, 로펌을 위해 일해
따라서 "A for B"에서 "for"의 뉘앙스는 대신, 대리로서 대체하는 것을 나타내며, 이 구문은 두 가지 사물 또는 개념의 대체 가능성을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
이렇게 형용사란 부품에 전치사란 부품을 붙이게 될 때 자신과 비슷한 이미지나 뉘앙스를 가지는 전치사로 붙이게 됩니다.
이런 것들을 우린 흔히 콜로케이션(Collocation)이라 부릅니다.
아래는 형용사+전치사의 콜로케이션 100개를 가져와 봤습니다.
그냥 "afraid"는 “두려워하는”이라고 외울 것이 아니라 "afraid of"는 “~를 두려워하는”이라고 덩어리로 알고 있어야 합니다.
Happy about
Angry at
Afraid of
Excited about
Nervous about
Proud of
Sad about
Interested in
Tired of
Bored with
Surprised by
Frustrated with
Amazed at
Disappointed in
Enthusiastic about
Grateful for
Guilty about
Impressed by
Jealous of
Worried about
Ashamed of
Confused by
Delighted with
Devastated by
Embarrassed about
Excited for
Frightened by
Impatient with
Irritated by
Disgusted with
Satisfied with
Shocked at
Suspicious of
Thrilled with
Aggravated by
Annoyed with
Astonished by
Bewildered by
Blown away by
Challenged by
Charmed by
Comfortable with
Concerned about
Disconcerted by
Displeased with
Distracted by
Fascinated by
Flustered by
Fortunate for
Fulfilled by
Grateful to
Happy for
Impressed with
Indifferent to
Inspired by
Intrigued by
Jaded with
Jittery about
Joyful about
Loving of
Mesmerized by
Miserable about
Moved by
Offended by
Overwhelmed with
Pleased with
Regretful about
Relieved by
Saddened by
Satisfied by
Shocked by
Skeptical of
Startled by
Stressed about
Supportive of
Suspicious about
Sympathetic to
Tempted by
Terrified of
Thankful for
Threatened by
Troubled by
Turned off by
Uncertain about
Uncomfortable with
Unimpressed with
Unsettled by
Unwilling to
Upset with
Utterly amazed by
Vibrant with
Victimized by
Vindictive toward
Vulnerable to
Wary of
Weirded out by
Welcoming to
Willing to
Wired by
Yearning for
'영어의 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재완료와 과거시제의 의미 차이 (0) | 2023.04.24 |
---|---|
구동사의 비밀 3 (0) | 2023.04.21 |
구동사의 비밀 2 (0) | 2023.04.20 |
구동사의 비밀 1 (0) | 2023.04.19 |
영어에서 미래를 어떤 방식으로 표현할까? (0) | 2023.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