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에서 시제(TENSE)란 용어를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시제와 시간은 서로 다른 같은 개념일까요 다른 개념일까요?
맞습니다! 서로 다른 개념입니다.
시제는 동사의 형태로 나타나며, 특정한 시간에 일어난 일이나 현재 상태, 또는 미래의 사건 등을 나타냅니다.
대표적으로 현재 시제(present tense), 과거 시제(past tense), 미래 시제(future tense) 등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I am studying English now"에서 'am studying'은 현재 시제이며, 현재 시간에 일어나고 있는 일을 나타냅니다.
"I studied English yesterday"에서 'studied'는 과거 시제이며, 과거에 일어난 일을 나타냅니다.
"I will study English tomorrow"에서 'will study'는 미래 시제이며, 미래에 일어날 일을 나타냅니다.
시간(time)은 언제나 정해진 순간이나 기간을 나타냅니다.
시간은 시계나 캘린더 등을 통해 측정됩니다.
시간은 명확하게 정해진 것이며, 이를 기준으로 어떤 사건이 일어날 것인지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The meeting is at 2 PM"에서 '2 PM'은 시간을 나타냅니다.
이 문장은 2시에 회의가 예정되어 있음을 나타내며, 이 시간에 일어날 사건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I have been studying for 2 hours"에서 '2 hours'는 시간을 나타냅니다.
이 문장은 얼마나 오랫동안 공부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며, 시간의 기간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시제와 시간은 서로 다른 개념으로, 동일한 문장에서 함께 사용될 수 있지만, 각각 다른 역할을 수행합니다.
즉, 시제를 좀 더 쉽게 얘기하자면 나눌 수 없는 시간을 문법적으로 과거, 현재, 미래로 나눈 것이라 볼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런데 영어에서는 과거를 나타낼 땐 동사 뒤에 -ed라는 장치를 붙이거나,
현재를 나타낼 땐 -s라는 장치를 붙이거나 해서 나타냅니다.
그런데 미래를 나타낼 땐 동사 뒤에 뭔가를 붙일 수 있는 장치가 없습니다.
그렇다면 영어에서는 어떤 방법으로 미래를 나타낼까요?
주로 사용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➊ will이나 be going to와 같은 조동사요소들을 가지고 와서 동사 앞에 붙여 미래를 나타내는 방법이 있습니다.
I will study tomorrow.
I am going to study tomorrow.
➋ 현재 시제를 사용해서 미래를 나타내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 방법은 일반적으로 일정표나 스케줄 등에서 사용이 됩니다.
The train leaves at 8 PM.
➌ 조동사요소 중에서 be -ing라는 진행의 장치를 가지고 와서 미래를 표현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The movie is starting at 7 PM"은 "The movie will start at 7 PM"과 동일한 미래 시제의 표현입니다.
그렇다면 The movie starts at 7 PM"과 "The movie will start at 7 PM" 문장 사이의 의미 차이가 있을까요?
그리고 그 미래에 발생할 가능성의 정도에도 어떤 차이점이 있을까요?
"The movie starts at 7 PM"과 "The movie will start at 7 PM"은 미래의 사실을 나타내는 두 문장입니다.
"The movie starts at 7 PM"은 현재 시제를 사용하여 일정이 이미 정해져 있음을 강조합니다.
이 문장은 보통 일정표나 광고 등에서 사용됩니다.
이것은 이미 계획되어 예정된 일정임을 나타내며, 미래의 사실을 강조합니다.
반면에, "The movie will start at 7 PM"은 일반적으로 예상되는 일정을 나타내며, "will" 모달 동사를 사용하여 확실성을 강조합니다.
이것은 예상되는 일정임을 나타내며, 예상되는 일이 실제로 일어날 것임을 강조합니다.
두 문장 모두 영화가 7 PM에 시작됨을 나타내지만, "The movie is starting at 7 PM"은 일정표나 공지 등에서 사용되며,
이미 계획되어있는 일정임을 강조합니다.
"The movie will start at 7 PM"은 예상되는 일정을 나타내며, 영화관에서 상영 예정인 영화의 시작 시간을 알리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능성의 정도는 두 문장 모두 거의 동일합니다.
다만, 사용되는 맥락에 따라 두 문장의 강조하는 부분이 조금 다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내일 눈이 내릴 것이다.”라는 미래 표현의 문장 4개를 통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it snows tomorrow.
it will snow tomorrow.
it is snowing tomorrow.
it is going to snow tomorrow.
각 문장의 의미 차이가 있을까요?
있다면 어떤 의미적 차이가 있을까요?
각각의 문장은 모두 미래 시점에 눈이 올 가능성에 대한 언급이 있지만, 문장 구조와 문맥 상으로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If it snows tomorrow" : 이 문장은 조건절로 시작합니다.
눈이 내리는 것이 어떤 조건에 따라 일어날 가능성이 있음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만약 내일 출근하는 일이 없으면, 눈이 올지도 모른다." 라고 말하는 경우입니다.
"It will snow tomorrow" : 이 문장은 눈이 내릴 것이라는 사실을 확신하고 있는 문장입니다.
이 문장은 예보나 기상 예측에 따라 언급될 수 있습니다.
즉, 내일 눈이 올 것이라는 것이 이미 확정된 사실이며, 이를 전달하는 문장입니다.
"It is snowing tomorrow" : 이 문장은 현재 시제를 사용하고 있지만, "tomorrow"을 포함하여 미래 시점을 언급합니다.
이는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문장으로 해석될 수 있지만, 이 문장 자체는 틀린 문장입니다.
"It is going to snow tomorrow"가 맞는 문장입니다.
"It is going to snow tomorrow" : 이 문장은 눈이 내리기로 예상되는 사실을 나타냅니다.
이 문장은 예보나 기상 예측에 따라 내일 눈이 올 것이라고 예상되는 것임을 나타냅니다.
이 문장은 "It will snow tomorrow"와 비슷한 뉘앙스를 가지고 있지만, 좀 더 예측적이며 확률적인 뉘앙스를 가지고 있습니다.
즉, 내일 눈이 올 것이라고 예상되지만, 100% 확실한 사실은 아니라는 것을 암시합니다.
각 문장의 가능성의 정도는 문맥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그러나, 보통의 경우 예보나 기상 예측에 따라 가능성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If it snows tomorrow" : 이 문장은 눈이 내리는 것이 어떤 조건에 따라 일어날 가능성이 있음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가능성의 정도는 그 조건이 얼마나 확실하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만약 해당 조건이 충족되면, 눈이 올 가능성은 100%가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해당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눈이 오지 않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It will snow tomorrow" : 이 문장은 이미 눈이 내릴 것이라는 사실이 확정된 문장입니다.
따라서, 눈이 올 가능성은 100%입니다.
"It is snowing tomorrow" : 이 문장은 옳지 않은 문장입니다.
하지만, 만약 "It is snowing today"라는 문장이 주어졌다면, 눈이 내릴 가능성은 100%가 될 수 있습니다.
"It is going to snow tomorrow" : 이 문장은 눈이 내리기로 예상되는 사실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가능성의 정도는 예측의 신뢰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만약 예측이 정확하다면, 눈이 올 가능성은 100%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예측이 부정확하다면, 눈이 내리지 않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기상청 등의 예보 기관은 예보의 신뢰도를 백분율로 나타내며, 이를 참고하여 가능성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영어에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미래를 나타내고 있다는 것을 살펴 보았습니다.
다음 시간엔 다른 주제로 찾아 뵙겠습니다.
'영어의 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재완료와 과거시제의 의미 차이 (0) | 2023.04.24 |
---|---|
구동사의 비밀 3 (0) | 2023.04.21 |
구동사의 비밀 2 (0) | 2023.04.20 |
구동사의 비밀 1 (0) | 2023.04.19 |
형용사와 전치사의 콜로케이션 (1) | 2023.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