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에 보다라는 의미에 해당하는 기본 영단어는 아마 look, see, watch라는 동사일 것입니다.

그런데 이 3개의 동사는 뉘앙스가 살짝 다릅니다.

어떻게 다른지 많은 예문들과 함께 살펴 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look", "see", "watch"는 모두 시각적인 관찰이나 인지를 나타내는 동사이지만, 세 가지 동사는 각각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Look

"Look"는 주로 시각적으로 관찰하는 것을 나타내며, 주어가 자발적으로 어떤 것을 바라보는 행동을 표현합니다.

"Look"는 종종 "겉모습을 바라보다"라는 의미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뭔가를 본다"라고 할 때 뒤에 대개 전치사 at을 동반하여 "look at"의 형태를 가집니다.

예문: She looked at the painting for a long time.

해석: 그녀는 그림을 오래 바라봤다.

 

See

"See"는 시각적으로 인식하는 것을 나타내며, 자연스럽게 눈에 들어오는 것을 의미합니다. "See"는 주로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일을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

예문: I can see the stars in the sky tonight.

해석: 오늘 밤 하늘에 별이 보인다.

 

Watch

"Watch"는 시간 동안 주의 깊게 보거나 주시하는 것을 나타내며, 특정 행동을 관찰하거나 감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Watch"는 주로 어떤 일이 벌어지는 동안 지켜보는 것을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

예문: I like to watch movies on Friday nights.

해석: 나는 금요일 밤에 영화를 보는 것을 좋아한다.

 

요약하면, "look"는 주로 무언가를 자발적으로 바라보는 것을 의미하고,

"see"는 시각적으로 인식하는 것을 의미하며,

"watch"는 시간 동안 주의 깊게 보거나 주시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더 의미를 확실히 이해하기 위해 각 동사의 뉘앙스와 더 많은 예문들을 보여드리겠습니다.

 

Look

She looked out the window and saw the snow falling.

(그녀는 창문 밖을 바라보고 눈이 내리는 것을 보았다.)

 

Don't look at me like that!

(그렇게 날 쳐다보지 마!)

 

He looked through the microscope and saw the cells.

(그는 현미경으로 세포를 관찰했다.)

 

She looks like her mother.

(그녀는 어머니와 닮았다.)

 

Look at that cute puppy!

(저 귀여운 강아지 봐!)

 

Look, I'm sorry for what I said earlier.

(미안해, 내가 이전에 한 말에 대해.)

 

You need to look both ways before you cross the street.

(길 건너기 전에 양쪽을 잘 살피세요.)

 

He looked at the map to find the right way.

(그는 올바른 길을 찾기 위해 지도를 봤다.)

 

Look at the bright side, things could be worse.

(긍정적인 면을 봐, 상황이 더 나빠질 수도 있잖아.)

 

See

I can see the stars in the sky.

(하늘에 별이 보인다.)

 

She saw her friend at the party last night.

(그녀는 어젯밤 파티에서 친구를 만났다.)

 

Did you see the movie I recommended?

(내가 추천한 영화 봤어?)

 

I can't see what you mean.

(당신이 말하는 게 무슨 뜻인지 모르겠어요.)

 

I see what you're saying, but I don't agree.

(당신이 말하는 것은 이해하지만, 동의하지 않아요.)

 

I don't see how we can finish this project in time.

(우리가 이 프로젝트를 시간 내에 끝낼 수 있는 방법이 없어 보여요.)

 

She saw the thief steal her purse.

(그녀는 도둑이 자신의 지갑을 훔치는 것을 보았다.)

 

I saw a bird flying outside the window.

(창 밖에서 새가 날아가는 것을 봤어.)

 

He sees a lot of patients every day at the clinic.

(그는 병원에서 매일 많은 환자들을 진료한다.)

 

Watch

We watched the fireworks display from the rooftop.

(우리는 지붕에서 불꽃놀이를 지켜봤다.)

 

He watched the children playing in the park.

(그는 공원에서 놀고 있는 아이들을 지켜보았다.)

 

Don't just stand there, come over and watch this!

(그냥 서 있지 마, 이걸 봐!)

 

She watched her favorite show on TV last night.

(그녀는 어젯밤에 좋아하는 프로그램을 시청했다.)

 

The security guard watched the entrance to the building.

(경비원이 건물 입구를 지켜보았다.)

 

He watched the clock tick by as he waited for the train.

(그는 기차를 기다리면서 시계를 지켜보며 시간이 가는 것을 지켜봤다.)

 

Watch out for that car!

(저 차 조심해!)

 

He's watching over his sick mother.

(그는 아픈 어머니를 보살피고 있다.)

 

I'm sorry, I can't come out tonight, I have to watch my baby.

(미안해, 오늘 밤 나갈 수 없어. 아기를 맡아야 해.)

 

She kept watching the door, hoping he would come back.

(그녀는 문을 지켜보며 그가 돌아오길 바랐다.)

 

He kept watching the game until the very end.

(그는 경기가 끝날 때까지 계속해서 시청했다.)

 

They kept watching the movie, even though it was getting late.

(그들은 늦어지기는 하지만 영화를 계속해서 보았다.)

 

위 예문들에서, "look"는 주로 눈으로 어떤 것을 바라보는 것을 나타내며,

"see"는 시각적으로 인식하는 것을 의미하고,

"watch"는 시간 동안 지켜보거나 감시하는 것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look"이 보다란 의미를 갖는데 나는 그녀를 보았다.”라고 하려면 “l looked at her."라고 해야지 "I looked her."라고 하면 문법적으로 옳지 않습니다.

왜냐면 "look"이란 동사는 대상을 보는 것을 의미하지만,

"at"이란 전치사가 없으면 대상이 누구나 무엇이든 상관없이 그저 바라보는 것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I look at her"가 옳은 문장입니다.

 

그런데 뭔가를 볼 때” “look at"도 있지만 look on"이란 것도 있습니다.

이 둘의 의미 차이는 어떤지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look at'은 어떤 대상에 시선을 집중하여 보는 것을 의미하며,

'look on'은 어떤 일이나 사건이 일어나는 것을 멀리서 지켜보거나 관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look on'은 어떤 면에 접(on)하여 본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뭔가 눈을 떼지 못하면서 바라보는 뉘앙스가 느껴지시죠?

 

She looked on in horror as the car crashed into the building.

(그녀는 차가 건물에 충돌하는 것을 경악하며 지켜보았다.)

 

The crowd looked on with excitement as the singer took the stage.

(사람들은 가수가 무대에 올라오자 즐거움을 느끼며 지켜보았다.)

 

He looked on wistfully as his friends left for the party.

(그의 친구들이 파티를 가기 위해 떠날 때, 그는 그들을 애태우며 지켜보았다.)

 

반면 'look at'은 다음과 같은 예시들처럼 어떤 한점(at)에 직접 시선을 집중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She looked at herself in the mirror and frowned.

(그녀는 거울을 보며 얼굴을 찡그렸다.)

 

He looked at the painting for a long time, admiring its beauty.

(그는 그림을 오래 보며 그 아름다움을 감상했다.)

 

They looked at each other and burst out laughing.

(그들은 서로를 바라보며 웃음을 터뜨렸다.)

 

따라서 'look on'은 보다 관찰적인 측면을 강조하며,

'look at'은 어떤 대상에 직접적으로 시선을 둔다는 측면을 강조합니다.

 

오늘은 타동사, 자동사 등과 관련해 미묘한 표현상의 차이를 알아보겠습니다.

 

동사는 크게 타동사(transitive verb)자동사(intransitive verb)로 구분됩니다.

 

타동사는 무언가를 목적어(object)로 취하는 동사를 말합니다.

, 타동사는 주어(subject)가 무언가를 행하는 대상(object)이 존재하는 문장에서 사용됩니다. 예를 들면, "I ate an apple."(나는 사과를 먹었다)에서 "ate"는 타동사입니다.

"I"는 주어이고, "an apple"은 목적어입니다.

"Ate""무엇을?"이라는 질문에 대답할 수 있는 대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타동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른 예로는 "She bought a book."(그녀는 책을 샀다)에서 "bought"가 타동사입니다.

"She"는 주어이고, "a book"은 목적어입니다.

 

반면 자동사는 목적어가 없이 사용되는 동사입니다.

자동사는 주어가 무언가를 행하는 대상이 없는 문장에서 사용됩니다.

예를 들면, "He sleeps."(그는 잔다)에서 "sleeps"는 자동사입니다.

"He"는 주어이지만 무엇을 잔다는 대상이 없으므로 자동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른 예로는 "The bird flew away."(새가 날아갔다)에서 "flew"가 자동사입니다.

"The bird"는 주어이지만 날아가는 대상이 없으므로 자동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타동사와 자동사를 구분하는 기준은 주로 동사의 의미와 함께 취하는 조사나 부사입니다.

타동사는 보통 목적어와 함께 취하는 전치사(: "to", "for", "with" )나 부사(: "carefully", "quickly" )를 가지고 있습니다.

반면 자동사는 전치사나 부사를 가지지 않거나, 다른 의미를 가진 부사(: "up", "down" )를 가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차이점을 이해하면 문장 구성과 동사 선택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지며, 문장의 의미 전달에 도움이 됩니다.

그러므로 타동사와 자동사의 구분은 문장의 구성과 의미 전달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영어에선 타동사와 자동사의 전환이 활발하게 이뤄집니다.

예를 들어, "I walked to the station."이란 문장에서 walk는 자동사로 '걷다'란 의미를 나타내지만

"I walked my dog."라는 문장에서 walk는 타동사로 '산책시키다' 정도의 의미로 쓰이고 있음에서도 잘 알 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엔 예시와 함께 타동사와 자동사의 구분에 대해 설명해보겠습니다.

 

타동사 예시

I drank a glass of water. (나는 물 한 잔을 마셨다.)

"drank"는 목적어 "a glass of water"를 가지고 있으므로 타동사입니다.

"I"는 주어입니다.

 

She read the book carefully. (그녀는 책을 조심스럽게 읽었다.)

"read"는 목적어 "the book"를 가지고 있으므로 타동사입니다.

"She"는 주어입니다.

 

He played the guitar for hours. (그는 몇 시간 동안 기타를 연주했다.)

"played"는 목적어 "the guitar"를 가지고 있으므로 타동사입니다.

"He"는 주어입니다.

 

자동사 예시

The flowers bloomed in the garden. (정원에서 꽃들이 피었다.)

"bloomed"는 대상이 없이 사용되므로 자동사입니다.

"The flowers"는 주어입니다.

 

The sun rises in the east. (태양은 동쪽에서 떠오른다.)

"rises"는 대상이 없이 사용되므로 자동사입니다.

"The sun"은 주어입니다.

 

The children laughed at the funny joke. (어린이들은 재미있는 농담에 웃었다.)

"laughed"는 대상이 없지만 전치사 "at"이 함께 사용되어 목적어 "the funny joke"를 나타내므로 타동사입니다.

"The children"은 주어입니다.

 

그런데 동사가 뒤에 전치사를 포함할 때 의미가 많이 달라지는 것을 흔히 보게 됩니다.

 

일례로, cheatcheat on을 먼저 보겠습니다.

cheat'속이다', '부정행위를 하다'라는 의미를 가지며, 주로 시험, 게임, 사업 등에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He cheated in the game by using cheat codes"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그는 게임에서 부정행위를 저질렀으며, 이를 "using cheat codes"라고 표현했습니다.

 

반면에 cheat on'배신하다', '밀회하다'라는 뜻을 가지며, 주로 인간관계에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She cheated on her husband with another man"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그녀는 자신의 남편과 다른 남자와 부정한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cheatcheat on은 서로 다른 뜻을 가지며, 사용되는 맥락도 다르므로, 주의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cheat on과 관련한 예문 몇 개를 더 소개해 볼겠습니다.

 

He cheated on his girlfriend with her best friend.

그는 그녀의 절친과 밀회했다.

 

I can't believe she cheated on her exam.

그녀가 시험에서 부정행위를 했다는 게 믿기지 않아.

 

The athlete was caught cheating on a drug test.

그 선수는 약물 검사에서 부정행위를 하고 있었음이 발각됐다.

 

My ex-boyfriend cheated on me with his co-worker.

내 전 남자친구는 자신의 동료와 부정한 관계를 가졌다.

 

She felt guilty after cheating on her husband.

그녀는 남편을 배신한 후에 유죄감을 느꼈다.

 

그런데 왜 on이란 전치사를 쓸까요?

on이란 전치사는 어떤 면에 한다는 뉘앙스를 갖고 있습니다.

여기서 여러 의미들이 파생적으로 도출됩니다.

그 중, 책상 위에 어떤 물체가 접해 있을 때 그 물체는 사실 책상을 아래로 누르고 있는 것입니다.

, 책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도출해 낼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어떤 영향을 끼친다는 뉘앙스의 oncheat란 동사와 만나게 되어 부정행위라는 동작으로 어떤 영향을 끼치다라는 것으로 파생됨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cheat on""배신하다"라는 의미를 가지는 구동사로서, "on" 전치사는 어떤 인간관계나 직무 등에서 일어난 배신 행위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게 된 것입니다.

이는 '누군가에게 속아서', '어떤 사람을 배신해서'라는 의미를 강조하기 위함입니다.

예를 들어, "He cheated me"라고 하면, 그가 내게 속았다는 것은 맞지만, 이것이 어떤 방식으로 일어났는지 명확하지 않습니다.

반면에, "He cheated on me with my sister"라고 하면, 그가 내 여동생과 함께 배신했다는 것이 명확합니다.

따라서 "cheat on"은 누군가에게 속아서 배신을 저질렀다는 뉘앙스를 강조하기 위해 "on" 전치사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번엔 knockknock on의 차이점을 알아보겠습니다.

 

She knocked.

그녀가 노크했다.

She knocked the door.

그녀가 그 문을 노크했다

She knocked on the door.

그녀가 그 문을 두드렸다.

She knocked the vase off the table.

그녀는 테이블에서 꽃병을 쓰러뜨렸다.

 

위 네 가지 문장의 차이를 살펴보겠습니다.

"Knock"는 문을 두드리는 소리를 나타내는 동사입니다.

knock이란 동작에 대한 대상을 굳이 밝힐 필요가 없을 때 쓸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노크하다정도의 의미로 이해하면 좋을 것입니다.

knock이란 동작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대상이 바로 the door라는 것을 밝히고 싶을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과 유사하지만 보통 "on"과 함께 사용되어 문 또는 물체에 손을 접해 어떤 영향(두드려)을 줘 소리를 내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Knock on"은 일반적으로 문 또는 물체에 대한 액션과 관련되어 있으며, "knock"보다는 구체적인 액션을 나타냅니다.

knock이란 동작을 통해 그가 꽃병을 탁자에서 쓰러뜨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여기서의 "knock"두드리다라는 의미 보단 "부딪치다"란 의미와 관련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shot""shot at"을 살펴 보겠습니다.

"shoot"총을 쏘거나, 사격을 하거나, 주사를 맞는 등의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I shot the target with my rifle.

(나는 나의 소총으로 목표물을 쏘았다.)

 

He got a flu shot at the doctor's office.

(그는 의사 진료소에서 독감 예방주사를 맞았다.)

 

She shot a quick glance at him.

(그녀는 그에게 빠르게 한 눈을 던졌다.)

 

"shot at"은 동사구로 사용되어, 총을 쏘거나, 공격하거나, 겨냥하거나, 비판하거나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shot at"은 보통 약간 부정확하게 또는 무언가를 공격하거나 겨냥하는 시도를 나타내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He shot at the target, but missed.

(그는 목표물을 겨냥했지만 놓쳤다.)

 

The police shot at the suspect during the chase.

(경찰은 추적 중 범인을 겨냥하여 총을 쏘았다.)

 

The critics shot at the new movie for its lack of originality.

(비평가들은 그 신작 영화가 독창성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비판했다.)

 

, "shot"은 쏘는 것, 맞는 것, 주사를 맞는 것 등을 나타내며, "shot at"은 무언가를 공격하거나 겨냥하는 시도를 나타냅니다.

그렇기 때문에 "He shot the tiger."란 문장에선 호랑이가 shot이란 동작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 피를 흘리게 된 것이 보였다면 "He shot at the tiger."에선 호랑이란 한 점(at)을 향해 총을 쏜 것은 맞지만 실제 맞았는지 여부는 알 수가 없다는 차이가 보인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저번에 우린  "go"란 동사에 대해 조금 알아 봤죠?

오늘은 "go"란 동사와 "come"이란 동사는 어떤 뉘앙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come"과 "go"는 화자의 입장에서 기준점이 되는 위치에 따라 의미 차이가 있습니다.

 


"come"은 화자가 있는 위치에서 대상 위치로 가는 것을 나타내며, 화자가 가는 방향과 반대 방향에 있는 위치를 가리킵니다. 

예를 들어, "I will come to your house"는 화자가 현재 있는 곳에서 상대방의 집으로 가겠다는 의미입니다.

 


반면에 "go"는 화자의 입장에서 떠나는 것을 나타내며, 화자가 있는 위치와 반대 방향으로 움직입니다. "I will go to the store"는 화자가 자신이 있는 곳에서 상대방의 집으로부터 가게로 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come"은 화자의 현재 위치에서 대상 위치로 움직이는 것을 나타내고, "go"는 화자가 현재 위치에서 떠나는 것을 나타냅니다.

 

자~ 이번엔 "come"과 "go"가 갖고 있는 뉘앙스를 좀 살펴보겠습니다.


"come true"와 "go bad"라는 표현을 잘 아실 것입니다.
"come true"는 꿈이나 희망이 실현되었을 때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긍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My dream of becoming a doctor finally came true"는 "나의 의사가 되는 꿈이 드디어 이뤄졌다"라는 의미로,

긍정적인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반면 "go bad"는 어떤 것이 좋지 않은 방향으로 나쁘게 되었을 때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예를 들어, "The milk in the fridge has gone bad"는 "냉장고 안에 있는 우유가 상하게 되었다"는 의미로, 부정적인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이처럼 "come"과 "go"는 사용되는 문맥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come"은 일반적으로 긍정적인 상황에서 사용되며, "go"는 부정적인 상황에서 사용될 때가 많습니다.

그렇다면 긍정적인 상황에서 사용되는 "come"이 들어간 표현과 부정적인 상황에서 사용되는 "go"가 들어간 표현들을 예문과 함께 살펴 보겠습니다.

그리고 이 중에서 몇 가지만 왜 이런 의미가 도출되는지 분석해 보겠습니다.


긍정적인 상황에서 사용되는 "come" 표현
come up roses - 완전히 성공하다
Despite the challenges, everything came up roses in the end.

 

come up trumps - 대단한 성과를 거두다
The team's hard work and dedication paid off, and they came up trumps in the competition.

 

"come up roses"나 "come up trumps"라는 표현들은 "Somebody가 와(come)서 장미(roses)나 승리(trumps)가 위로(up) 올라오도록 하다"로 이해하면 충분히 의미가 유추될 것입니다.

척박한 환경 속에서 장미 한 송이가 위로 올라온 모습에서 뭔가가 성공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을 것입니다.

 

 

come into one's own -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다
After years of hard work, she finally came into her own as a successful businesswoman.


come to fruition - 이루어지다, 성과를 거두다
Our efforts have finally come to fruition with this successful product launch.

 

come to light - 드러나다, 밝혀지다
New evidence has come to light in the investigation.

 

come on strong - 자신감 있게, 강하게 나타나다
She came on strong in the interview and impressed the hiring manager.


come alive - 살아나다, 생기를 불어넣다
The party really came alive once the music started playing.


come through - 성공하다, 이루어지다
Despite the obstacles, the project came through and was completed on time.

Somebody가 와(come)서 처음부터 끝까지 뭔가를 관통(through)해 나가는 모습을 그려보면 의미가 이해될 것입니다.


come out on top - 최종적으로 이기다, 성공하다
After a tough competition, our team came out on top.

 

Somebody가 나와(come out)서 정상 위에(on top) 서 있는 이미지를 그리면 "성공(성취)하다"란 그림을 그릴 수 있을 것입니다.

 


come together - 모이다, 하나가 되다
The community came together to raise money for a good cause.

 

부정적인 상황에서 사용되는 "go" 표현
go off the rails - 잘못된 길로 빠지다
After his divorce, he went off the rails and started drinking heavily.

 

열차가 레일에서 떨어져(off) 나가면 큰 일이겠죠?

그건 분명 뭔가 큰 일이 생겨나는 잘못된 길로 빠진 것일 것입니다.

 

go down the drain - 망하다, 실패하다
Our business venture went down the drain after a few months.

 

 

배수관(drain) 아래로(down) 가게 되면 어떻게 될까요?

상상이 가시죠? 


go to the dogs - 쇠퇴하다, 타락하다
The once-thriving neighborhood has gone to the dogs in recent years.


go from bad to worse - 더 나쁜 방향으로 가다
After losing his job, things went from bad to worse for him.


go belly up - 파산하다, 망하다
The company went belly up after making some bad investments.

배(belly)가 점점 부풀어 오른(up)다고 생각해 보세요.

나중엔 어떻게 되죠?

"뻥"하고 터질 수 있겠죠?


go haywire - 잘못된 방향으로 가다, 실패하다
The project went haywire when the main contractor quit.


go awry - 잘못되다, 예상과 다르게 나타나다
Our plans for the day went awry when it started raining heavily.


go sour - 실패하다,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오다
Our negotiation with the client went sour when they refused to accept our proposal.

 

위 3가지 표현은 go란 동사 뒤에 상태를 표현하는 형용사인 haywire(뒤섞인, 얽힌), awry(빗나간, 엉망이 된), sour(신, 상한)이 붙은 표현으로 형용사인 상태로 안 좋게 변화가 됨을 go가 나타내 주고 있습니다.

 

go up in smoke - 소멸하다, 망하다
Our plans for a big party went up in smoke when the venue canceled at the last minute.

연기로(in smoke) 계속 위로(up)로 올라간다고 생각해 보세요.
언젠가 그것은 소멸하고 말겠죠?

 

이처럼 우리가 지금까지 숙어라고 무작정 외웠던 표현들도 동사의 뉘앙스와 전치사 혹은 부사의 뉘앙스를 알고 조합을 해 보면 충분히 왜 그런 의미가 도출되는지 이해할 수 있답니다.

앞으로 이런 연습들을 충분히 해 보자구요!

'영어의 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다의 의미를 갖는 동사 See, Look, Watch 비교  (0) 2023.04.27
타동사와 자동사 비교  (0) 2023.04.26
현재완료와 과거시제의 의미 차이  (0) 2023.04.24
구동사의 비밀 3  (0) 2023.04.21
구동사의 비밀 2  (0) 2023.04.20

오늘부터 조금씩 영문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영문법 중에서도 조동사요소를 알아보고자 합니다.

조동사요소란 동사라는 부품에 5가지 색을 칠하는 페인트 정도로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 페인트 중에서 시제라는 페인트와 완료라는 페인트를 서로 비교해 볼까 합니다.

완료 중 현재완료와 시제 중 과거시제가 해석은 비슷한데 내포한 의미에 차이점이 많습니다.

그것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먼저 "Have you eaten breakfast?" "When did you eat breakfast?"라는 문장으로 시작해 보겠습니다.

"Have you eaten breakfast?" "When did you eat breakfast?"는 모두 아침 식사를 먹었는지에 대한 질문이지만,

미묘한 의미상 차이가 있습니다.

 

중간고사 때문에 토요일 저녁에 친구 집에 가서 밤을 새고 공부한 아들이 일요일 오전에 들어왔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이때 엄마가 아들에게 묻습니다.

"아침 먹었니?" 

지금 이 상황에서 위 문장은 어떻게 표현하는 게 맞을까요?

 

"Have you eaten breakfast?" (완료)

"Did you eat breakfast?" (과거 시제)

 

정답은 "Have you eaten breakfast?"라고 물어야 엄마의 마음이 들어간 표현일 것입니다.

그 이유는 "Have you eaten breakfast?"라는 '완료'의 형태로 묻는 것은 "현재와의 관련성"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즉, "'eat'라는 동작이 이전에 발생을 해서 현재 넌 배가 안 고프니? 혹은 'eat'라는 동작이 이전에 발생을 안 해서 넌 지금 배가 고프니?"라는 엄마의 의도가 들어있기 때문입니다.

즉, "Have you eaten breakfast?" 현재완료, 현재까지의 시간 동안 아침 식사를 먹었는지를 묻는 질문입니다.

, 지금 시간을 기준으로 현재까지 먹었는지 여부를 묻는 것이며, 아침 식사를 아직 먹지 않았다면 지금 먹으라는 것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그에 반해, "Did you eat breakfast?"라는 문장은 "아침을 먹은 동작이 과거에 발생했는지에 관한 물음만 들어 있는 문장"입니다.

즉, 이 문장은 "When did you eat breakfast?"와 같은 문장처럼 과거 어느 시간대에 아침 식사를 먹었는지를 묻는 질문으로 사용될 때 쓰일 수 있습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언제 먹었는지 궁금한 경우나, 아침 식사를 먹지 않았을 때 왜 먹지 않았는지에 대해 묻는 경우 등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두 문장은 서로 다른 시제를 사용하여 질문하는 것으로,

"Have you eaten breakfast?"은 아침을 먹어서 현재 배가 고픈지 혹은 안고픈지, 그래서 배가 고프다면 밥을 해 줄까?라는 의미까지 담고 있을 수 있는 문장이라면  "When did you eat breakfast?" 언제 먹었는지를 묻는 차이가 있습니다.

 

다음 문장을 보겠습니다.

"How many apples did you eat today?"

"How many apples have you eaten today?" 

 

첫 번째 문장인 "How many apples did you eat today?"과거시제입니다.

이는 하루가 거의 끝나거나 이미 끝난 것으로 추정되며, 하루 동안 섭취한 사과의 총 수에 대한 질문입니다.

질문을 하는 사람이 이전에 사과를 먹는 것을 보았을 수 있으며, 이제 그들이 얼마나 많이 먹었는지 묻고 있을 수 있습니다.

두 번째 문장인 "How many apples have you eaten today?"현재완료입니다.

이는 아직 하루가 끝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질문은 그날 아침부터 현재까지 섭취한 사과의 수에 대한 것입니다.

질문을 하는 사람은 상대방이 그날 아침부터 현재까지 사과를 먹었는지, 그리고 얼마나 먹었는지 알고 싶어합니다.

 

이번엔 "I have eaten breakfast""I ate breakfast" 두 문장을 보겠습니다.

"I have eaten breakfast"현재완료를 사용한 문장으로, '나는 아침 식사를 먹었다'는 뜻입니다.

이것은 현재까지의 시간 동안 일어난 일을 강조합니다.

'나는 지금까지 아침 식사를 먹었다'는 의미입니다.

이 문장은 '나는 아침 식사를 이미 먹었으므로, 지금은 배가 고프지 않다'는 것을 암시합니다.

 

반면에, "I ate breakfast"과거시제를 사용한 문장으로, '나는 아침 식사를 먹었다'라는 뜻입니다.

이것은 언제 먹었는지를 강조합니다.

이 문장은 '나는 아침 식사를 먹은 상태이며, 나중에는 배가 고플 수도 있다'는 것을 암시합니다.

 

, "I have eaten breakfast"는 과거에 일어난 일을 현재와 연결하여 이어가는 것이며,

"I ate breakfast"는 과거에 일어난 일이 끝났음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또 다른 예로, "I have just finished my homework""I finished my homework"을 생각해보겠습니다.

"I have just finished my homework"현재완료를 사용한 문장으로, '나는 지금 막 숙제를 다 끝냈다'라는 뜻입니다.

, ‘숙제를 계속 하다가 이제야 막 끝냈다.’는 느낌을 줍니다.

한편, "I finished my homework"과거시제를 사용한 문장으로, '나는 숙제를 다 끝냈다'라는 뜻입니다.

이 문장은 '나는 숙제를 완료했으며, 이제는 다른 일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합니다.

 

다른 더 많은 예문들을 통해  현재완료과거시제의 차이를 알아보겠습니다.

 

"She has traveled to many countries"라는 문장은 그녀가 여러 나라를 방문해왔다는 사실에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그녀가 여러 나라를 방문했다는 상태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 강조됩니다.

반면 "She traveled to many countries last year"라는 문장은 그녀가 작년에 여러 나라를 방문했다는 것에 더 강조를 두고 있습니다.

그녀가 작년에 여러 나라를 방문했다는 과거 사실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I have read that book before"라는 문장은 나는 그 책을 이전에 읽은 적이 있다는 사실에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그 책을 읽은 경험의 상태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 강조됩니다.

"I read that book last month"라는 문장은 나는 지난 달에 그 책을 읽었다는 것에 더 강조를 두고 있습니다.

그 책을 읽은 것이 지난 달에 일어났다는 과거 사실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They have been married for ten years"라는 문장은 그들이 결혼한 이래로 10년이 지나도록 여전히 결혼한 상태에 있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They got married in 2010"라는 문장은 그들이 2010년에 결혼했다는 것에 더 강조를 두고 있습니다.

지금 이혼을 했는지 아직까지도 함께 살고 있는지는 이 문장을 통해선 알 수가 없습니다.

그들이 결혼한 것이 2010년에 일어났다는 과거 사실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He has never eaten sushi"라는 문장은 그가 스시를 먹어 본 적이 없다는 상태에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그가 스시를 먹은 적이 없는 경험의 상태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 강조됩니다.

"He tried sushi for the first time last week"라는 문장은 그가 지난 주에 처음으로 스시를 먹어봤다는 것에 더 강조를 두고 있습니다.

그가 스시를 먹은 것이 지난 주에 일어났다는 과거 사실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We have been friends since childhood"라는 문장은 우리가 어릴 적부터 친구였다는 상태에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우리가 친구인 상태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 강조됩니다.

"We became friends in elementary school"이란 문장은 우리가 초등학교 때 친구였고 지금도 친구인지 아닌지에 관해선 관심이 없음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I have already seen that movie"라는 문장은 나는 그 영화를 이미 본 상태에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그 영화를 본 경험의 사실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 강조됩니다.

"I saw that movie last night"라는 문장은 나는 어젯밤에 그 영화를 봤다는 것에 더 강조를 두고 있습니다.

그 영화를 보았다는 과거 사실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She has been studying English for five years"라는 문장은 그녀가 지금까지 5년간 영어를 공부하고 있다는 상태에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그녀가 지금까지 영어 공부를 한 상태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 강조됩니다.

"She studied English in college"라는 문장은 그녀가 대학에서 영어를 공부했다는 것에 더 강조를 두고 있습니다.

그녀가 영어를 공부했다는 과거 사실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He has been working at the company for three years"라는 문장은 그가 그 회사에서 일하고 있는 상태에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그가 지금까지 그 회사에서 일을 한 상태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 강조됩니다.

"He worked at the company until last year"라는 문장은 그가 작년까지 그 회사에서 일했다는 것에 더 강조를 두고 있습니다.

그가 그 회사에서 일한 것이 작년에 끝났다는 과거 사실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I have been waiting for an hour"라는 문장은 나는 지금까지 한 시간 동안 기다리고 있다는 상태에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나는 아직 기다리고 있으며, 이 상태가 계속될 것이라는 것이 강조됩니다.

"I waited for an hour"라는 문장은 나는 한 시간 기다렸다는 것에 더 강조를 두고 있습니다.

한 시간 기다린 과거 사실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보면, 현재완료와  과거시제는 시간의 관점에서 약간 다른 느낌을 줍니다.

현재완료는 현재와 과거를 연결하여 현재까지의 상태를 강조하는 반면, 과거시제는 단순히 과거에 일어난 일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가 있습니다.

'영어의 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동사와 자동사 비교  (0) 2023.04.26
기본동사 Come과 Go 비교 1  (0) 2023.04.25
구동사의 비밀 3  (0) 2023.04.21
구동사의 비밀 2  (0) 2023.04.20
구동사의 비밀 1  (0) 2023.04.19

 

come out: 

The new iPhone is coming out next month. 

(새 iPhone은 다음 달에 출시될 예정이야.)

put on: 

Don't forget to put on sunscreen before you go to the beach. 

(해변에 가기 전에 선크림 바르는 거 잊지 마.)

give in: 

I finally gave in and agreed to go on a blind date. 

(나는 결국 굴복해서 소개팅을 가기로 동의했어.)

pick up: 

Can you pick up some milk on your way home? 

(집에 오는 길에 우유 좀 사와줄래?)

go back: 

I need to go back and get my phone that I left at the office. 

(사무실에 두고 온 폰을 찾아가야 해.)

get off: 

We need to get off at the next exit. 

(다음 출구에서 내려야 해.)

look up: 

Can you look up the phone number for the restaurant? 

(그 식당 전화번호 좀 찾아줄래?)

break down: 

My car broke down on the way to work. 

(출근하는 길에 차가 고장나버렸어.)

hold back: 

I had to hold back my tears during the sad movie. 

(슬픈 영화를 보는 동안 눈물을 참아야 했어.)

turn off: 

Can you turn off the lights before you leave?

(나가기 전에 불 좀 끄고 나가줄래?)

run into: 

ran into an old friend at the grocery store. 

(식료품점에서 예전 친구를 우연히 만났어.)

throw away: 

Don't throw away that old shirt, it can still be donated. 

(그 옛날 셔츠를 버리지 마, 아직 기부할 수 있어.)

hold up: 

Please hold up your hand if you have any questions. 

(질문이 있으면 손을 들어주세요.)

make up: 

Let's make up and forget about the argument. 

(화해하고 그 논쟁을 잊어버리자.)

 

자~ 이제부턴 원어민들이 많이 사용하는 기본동사와 관련한 구동사들을 알아보겠습니다.

오늘은 동사 go와 관련한 구동사들 몇 개를 살펴보겠습니다.

이 중에서 설명이 필요한 구동사들은 밑에 설명을 해 놓겠습니다.

 

go ahead: 계속하다, 진행하다.

You can go ahead and start eating without me.

(당신은 나 없이 먹기 시작해도 괜찮아요.)

 

go away: 떠나다, 사라지다.

I wish the rain would go away so we can go outside.

(우리가 밖으로 나갈 수 있도록 비가 그치면 좋겠어요.)

 

go back: 되돌아가다.

Let's go back to that amazing restaurant we went to last week.

(저번 주에 갔던 멋진 식당으로 돌아가자.)

 

go down: 내려가다.

We need to go down a few floors to get to the meeting room.

(회의실에 가려면 몇 층 내려가야 해요.)

 

go for: ~을 선택하다.

I think I'll go for the salmon tonight.

(오늘 밤은 연어를 선택할게요.)

 

go in: 들어가다.

Don't forget to go in and say hello to your grandparents.

(할아버지, 할머니한테 인사하러 들어가는 거 잊지 마세요.)

 

go off: (소리가) 울리다.

The alarm clock went off at 6 am.

(알람 시계가 아침 6시에 울렸어요.)

 

여기서 off는 붙어(on)있던 어떤 것이 떨어지는 뉘앙스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떨어지는 뉘앙스에서 시작/출발이란 뉘앙스로 파생됨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아래 그림처럼 운동 선수가 출발지에서 발을 떼는 모습에서 출발/시작이란 뉘앙스가 생겨남을 알 수 있습니다.

즉, 시계가 가다(go)가 6시란 어느 순간이 되자 "따르릉"하면서 울림이 시작되는 것을 off가 보여준다고 이해하면 되겠습니다.

 

go on: 계속되다.

The party went on until late at night.

(파티는 밤 늦게까지 계속되었어요.)

 

go out: 나가다.

Let's go out for a walk in the park.

(공원에서 산책하러 나가볼까요?)

 

go over: 다시 확인하다.

Can you go over the instructions one more time?

(한 번 더 지시사항을 확인해 줄 수 있나요?)

 

go through: 검토하다, 철저히 검토하다.

We need to go through all the paperwork before we can approve the loan.

(대출을 승인하기 전에 모든 서류를 철저히 검토해야 해요.)

 

go up: 올라가다.

We need to go up to the roof to fix the antenna.

(안테나를 수리하러 옥상으로 올라가야 해요.)

 

go with: 어울리다, 일치하다.

The blue shirt goes well with your jeans.

(파란 셔츠는 당신의 청바지와 잘 어울려요.)

 

아래 그림처럼 각 양복이 자기와 맞는 구두로 가(go)고 있는데, 어떤 구두랑은 잘 맞는(well) 상태임을 보여준다고 이해하면 되겠습니다.

그때 양복과 구두가 함께 있는(with)한 상태이기 때문에 go well with라는 표현은 ~와 잘 맞다/어울리다로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go without: ~없이 지내다.

I can't go without my morning coffee.

(아침 커피 없이는 못 지내겠어요.)

 

go after: 추적하다.

The police went after the suspect who had fled the scene.

(범인은 장소를 떠난 후 추적되었어요.)

 

go about: 일을 처리하다, 일을 진행하다.

How do you usually go about organizing your schedule?

(당신은 보통 일정을 어떻게 처리하나요?)

 

about의 뉘앙스는 '주변' '여기저기'에 떨어져 있는 과자 부스러기를 그리면 됩니다.

스케줄을 조직하는 주변으로 가는 것을 스케줄을 조직하는 일처리를 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go across: 건너다.

We need to go across the bridge to get to the other side of the river.

(강을 건너려면 다리를 건너야 해요.)

 

go behind: ~뒤로 가다.

The tour guide asked us to go behind the building to see the garden.

(관광 안내원은 우리에게 정원을 보려면 건물 뒤로 가라고 했어요.)

 

go for it: 도전하다, 시도하다.

If you want to ask her out, go for it!

(그녀를 만나보고 싶다면 도전해보세요!)

 

go with the flow: 상황에 따라 행동하다.

I don't have a specific plan for tonight, I'll just go with the flow.

(오늘 밤에 특별한 계획이 없어요, 그냥 상황에 따라 행동할 거에요.)

 

여기서 flow란 것은 어떤 상황이나 일의 흐름을 얘기하는 것입니다.

그 흐름과 함께 가는 것이니까 그 상황의 흐름에 맡기는 것이겠지요.

 

 

 

 

get away with: He always seems to get away with everything.

(그는 항상 모든 것을 면하게 되는 것 같아.)

 

구동사는 아무 논리도 없이 무조건 외우는 것이 아닙니다.

예를 들어, 위의 get away with라는 표현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이 표현은 잘못을 하고도 처벌을 피한다,~을 교묘히 모면하다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이것을 아무 이해도 못한 상태에서 저 한글 뜻을 외운들 무슨 의미가 있을까요?

그러나 동사 get이 가지는 이미지, 부사 전치사 away with가 각각 가지는 이미지를 조합해 보면 저 뜻이 자연스럽게 나온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get에서 뭔가 (능동적) 움직임과 과정의 이미지가 보이며, away에선 멀리 사라져가거나 도망가는 이미지, with에선 뭔가를 다루거나 행하는 이미지가 나오는데 이 셋을 조합해 보면 어떤 주인공이 get이란 (능동적) 동작을 한 후, away(도망가는)하는 그림이 도출이 됩니다.

그때 그 주인공이 with(다루거나 행했던)했던 그림이 바로 get away with라는 그림입니다.

(※ with가 왜 다룬다 행한다는 의미가 도출되는지는 수업시간에 자세히 설명해 줍니다.)

 

He got away with the justice system.

 

즉, 위와 같은 문장은 영화 배트맨에 나오는 조커와 같은 빌런이 여러 악한 일을 한 뒤에 감옥에 갇히지만 사법시스템을 조롱하듯이 철창을 유유히 빠져 나오는 그림과 딱 매치가 되는 문장일 것입니다.

그러고보니 이런 표현이 아예 제목으로 있는 미드도 있었던 게 생각이 나네요.

 

자~ 구동사는 이런 식으로 이미지를 그린 후, 그 문장을 한꺼번에 암기해 버리는 것이 왕도라 할 수 있습니다.

다른 구동사들을 이제 계속 알아보겠습니다.

 

give away: I'm giving away some old clothes to charity.

(나는 기부 단체에 옷을 기부할 거야.)

 

go out: Let's go out and have some fun tonight.

(오늘 밤 놀러 가자.)

 

take out: Can you take out the trash?

(쓰레기 좀 버려줄래?)

 

come in: Please come in and make yourself at home.

(들어와서 편하게 지내세요.)

 

run out: We're going to run out of time if we don't hurry.

(서둘리지 않으면 시간이 부족할 거야.)

 

turn in: It's getting late, I think I'll turn in for the night.

(이미 늦었으니 오늘밤은 잠자리에 들게.)

 

break up: They decided to break up after a long and difficult relationship.

(오랜 시간 동안 어려웠던 관계 끝에 그들은 이별을 결정했어.)

 

set off: The fireworks set off a car alarm.

(불꽃놀이 소리 때문에 차 알람이 울리기 시작했어.)

 

look up: Can you look up the meaning of this word for me?

(이 단어의 뜻 좀 찾아줄래?)

 

take over: She will take over as the new manager next month.

(그녀는 다음 달부터 새로운 매니저가 될 거야.)

 

put on: Don't forget to put on sunscreen before going outside.

(밖에 나가기 전에 선크림 바르는 거 잊지 마.)

 

bring up: She always brings up her ex-boyfriend in conversation.

(그녀는 언제나 전 남자친구 얘기를 꺼내대.)

 

hang up: I accidentally hung up on him.

(실수로 그에게 전화를 끊었어.)

 

get off: You need to get off the train at the next stop.

(다음 정류장에서 기차에서 내려야 해.)

 

come up: A new problem has come up that we need to address.

(우리가 대처해야 할 새로운 문제가 생겼어.)

 

put down: He put down his book and went to bed.

(그는 책을 놓고 잠자리에 들었어.)

 

take back: I need to take back what I said earlier, I was wrong.

(이전에 한 말을 철회해야겠어, 내가 틀렸어.)

 

run into: I ran into an old friend at the grocery store.

(슈퍼마켓에서 예전 친구를 우연히 만났어.)

 

go over: Let's go over the details of the project one more time.

(프로젝트의 세부 내용을 한 번 더 검토해보자.)

 

bring in: The new policy will bring in more revenue for the company.

(새로운 정책으로 인해 회사는 더 많은 수입을 올릴 것이야.)

 

look forward to: I'm really looking forward to our vacation next month.

(다음 달 우리의 휴가를 너무 기대하고 있어.)

 

come out: The sun came out after the rain stopped.

(비가 그치고 나서 해가 나왔어.)

 

turn off: Can you turn off the lights when you leave the room?

(방을 나갈 때 불 좀 끄고 나올래?)

 

break down: My car broke down on the highway.

(내 차가 고속도로에서 고장나 버렸어.)

 

get on: How do you get on with your new coworkers?

(새 동료들과 잘 지내고 있어?)

 

pick up: I need to pick up some groceries on the way home.

(집에 가는 길에 장보러 가야 해.)

 

catch up: Let's have lunch and catch up on each other's lives.

(점심식사를 함께하고 서로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set up: Can you help me set up the new computer?

(새 컴퓨터 설치하는데 도와줄래?)

 

give up: Don't give up on your dreams, keep pursuing them.

(꿈을 포기하지 마, 계속 추구해봐.)

 

put off: We had to put off our vacation until next month.

(우리는 다음 달로 휴가를 미루어야 했어.)

 

hold on: Please hold on while I transfer your call.

(전화를 연결하는 동안 잠시 기다려주세요.)

 

come up with: She always comes up with great ideas for our marketing campaigns.

(그녀는 항상 저희 마케팅 캠페인에 대한 좋은 아이디어를 내놓아.)

 

take off: The plane will take off in 20 minutes.

(비행기는 20분 후에 출발할 거야.)

 

go through: He had to go through a lot of interviews before he was offered the job.

(일자리를 제안받기 전에 그는 많은 면접을 거쳐야 했어.)

 

call off: They had to call off the wedding because of the pandemic.

(그들은 대유행으로 인해 결혼식을 취소해야 했어.)

 

look out: Look out! There's a car coming!

(조심해! 차가 다가오고 있어!)

 

hold up: The bank robbery was foiled by a hold-up alarm.

(은행 강도는 긴급 출동 신호로 막혔어.)

 

stand up: He stood me up on our date last night.

(그는 어젯밤 우리 데이트를 약속을 안 지키고 바람을 피웠어.)

 

turn on: Can you turn on the TV, please?

(TV를 켜줄래?)

 

go out: Let's go out for dinner tonight.

(오늘 저녁에 외식하자.)

 

come over: Why don't you come over to my place for a drink?

(술 한 잔 하러 내 집에 와봐.)

 

figure out: I need to figure out how to fix the leaky faucet.

(새는 수도꼭지를 고치는 방법을 찾아내야 해.)

 

put up with: I can't put up with his constant complaining anymore.

(그의 지속적인 불평에 더 이상 참을 수 없어.)

 

get away: We need to get away from the city and relax for a weekend.

(도시에서 벗어나서 주말에 휴식을 취해야 해.)

 

go on: What's going on here?

(여기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어?)

 

come back: When will you come back from your trip?

(여행에서 언제 돌아올 거야?)

 

take out: Let's take out some pizza for dinner tonight.

(오늘 저녁 피자를 주문해서 가져와 먹자.)

 

bring up: She always brings up her ex-boyfriend in conversation.

(그녀는 항상 이야기 중에 전 남자친구를 꺼내.)

 

look for: I've been looking for my keys everywhere.

(열쇠를 어디서 찾아봐도 못 찾겠어.)

+ Recent posts